Github & Portfolio
전체 글(206)
-
[2021-06-24] Today I Learned
👉 Compter Science Compter network - DNS - REST와 RESTful 👉 회고 내일 밤에 속초를 간다! 그 전까지 열심히!
-
[컴퓨터네트워크] REST와 RESTful
REST REST의 정의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대표적인 상태 전달)'의 약자 World Wide Web(WWW)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아키텍처의 한 형식 REST는 기본적으로 웹의 기존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REST는 네트워크 상에서 Client와 Server 사이의 통신 방식 중 하나이다. REST의 구체적인 개념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자원(Resource)을 명시하고, HTTP Method(GET, POST, PUT, DELETE)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 연산을 적용하..
-
[컴퓨터네트워크] DNS
인터넷의 네임스페이스: 인터넷은 2개의 주요 네임스페이스인 도메인 네임 계층과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관리한다. DNS(Domain Name System)란? DNS란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인터넷 도메인 주소 체계로서 'www.example.com'과 같은 컴퓨터의 도메인 이름을 192.168.1.0과 같은 IP 주소로 변환하고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며 인터넷의 전화번호부라고 불린다. IP는 기억하기 어렵고 변경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DNS가 이를 상쇄시킬 수 있다. DNS 프로세스 특정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임의의 장치의 주소를 찾기 위해..
-
[2021-06-23] Today I Learned
👉 Compter Science Compter network - SSL 통신과정 - GET 메서드와 POST 메서드 - 쿠키와 세션 👉 회고 네트워크 재밌다.. 맛들렸다.. 내일부터는 다시 알고리즘 문제와 병행!!
-
[컴퓨터네트워크] 쿠키와 세션
쿠키와 세션의 필요성 HTTP 프로토콜은 비연결 지향, 상태정보 유지 안함 등의 특징으로 모든 요청 간 의존관계가 없다. 즉, 현재 접속한 사용자가 이전에 접속했던 사용자와 같은 사용자인지 아닌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계속해서 연결을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리소스 낭비가 줄어드는 것이 큰 장점이지만, 통신할 때마다 새로 연결하기 때문에 클아이언트는 매 요청마다 인증을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전 요청과 현재 요청이 같은 사용자의 요청인지 알기 위해서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HTTP 프로토콜에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술로 쿠키와 세션이 있다. 쿠키(Cookie) 개념 클라이언트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파일이다. 이름, 값, 유효 시간, 경로 등을 포함하고 있다.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
-
[컴퓨터네트워크] GET 메서드와 POST 메서드
GET 메서드와 POST 메서드 둘 다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 서버에 데이터(요청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GET 메서드 방식 개념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메서드 서버에서 어떤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주기 위한 용도의 메서드 가져오는 것(Select) 사용 방법 URL의 끝에 '?'가 붙고, 요청 정보가 key=value 형태의 쌍을 이루어 '?' 뒤에 이어서 붙어 서버로 전송한다. 요청 정보가 여러 개일 경우에는 '&'로 구분한다. Ex) www.example.com?name1=value1&name2=value2 특징 URL에 요청 정보를 붙여서 전송한다. URL에 요청 정보가 이어붙기 때문에 갈이 제한이 있어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