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 Portfolio
전체 글(206)
-
[데이터베이스] SQL 기초(데이터 정의어/조작어/제어어)
데이터 정의어(DDL: Data Definition Language) SCHEMA, DOMAIN, TABLE, VIEW, INDEX를 정의하거나 변경 또는 삭제할 때 사용하는 언어 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나 데이터베이스 설계자가 사용 CREATE, ALTER, DROP, RENAME CREATE 테이블을 구성하고, 속성과 속성에 관한 제약을 정의하며, 기본키 및 외래키를 정의하는 명령 ALTER 생성된 테이블의 속성과 속성에 관한 제약을 변경하며, 기본키 및 외래키를 변경함 DROP 테이블을 삭제하는 명령 RENAME 테이블의 이름을 변경하는 명령 데이터 조작어(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처리하는데 사용하는 언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
[2021-07-03] Today I Learned
👉 Computer Science 데이터베이스 무결성 제약조건과 키(Key) 👉 회고 오늘 국민은행 코딩테스트를 봤다.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좋겠다😂.
-
[데이터베이스] 무결성 제약조건과 키(Key)
키(Key) 특정 튜플을 식별할 때 사용하는 속성 혹은 속성의 집합 키가 되는 속성(혹은 속성의 집합)은 값이 반드시 달라서 튜플들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함 키는 릴레이션 간의 관계를 맺는 데에도 사용됨 슈퍼키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하나의 속성 혹은 속성의 집합 유일성은 만족하지만 최소성은 만족시키지 못함 이름과 주소는 중복된 값이 있을 수 있고, 핸드폰 번호는 핸드폰이 없는 사람이 중복의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위 릴레이션에서는 고객번호 또는 주민번호를 포함한 모든 속성의 집합이 슈퍼키가 될 수 있다. 후보키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의 최소 집합 기본키로 사용할 수 있는 속성들을 후보키라고 함 릴레이션 내의 모든 튜플에 대해서 유일성과 최소성을 만족시켜야 함 위 릴레이션에서..
-
[6월 회고록]
👉 Problem Solving - 백준 8문제 해결 - 프로그래머스 18문제 해결 👉 Computer Science 운영체제 - 운영체제란 무엇인가? - Process1 Computer network - OSI 7계층 - TCP와 UDP - TCP의 3-way/4-way handshake - HTTP와 HTTPS - SSL 통신과정 - GET 메서드와 POST 메서드 - 쿠키와 세션 - DNS - REST와 RESTful - 인터넷에 URL을 입력하여 어떻게 될까?(OSI 7계층 관점) - 로드 밸런싱이란? - 주소창에 'www.naver.com'을 입력하면? DataBase - 기본 용어 정리 - DataBase - Index 👉 DKU 기말고사 진행 👉 Etc. - 국민은행 IT분야 수시채용 지원(..
-
[2021-07-02] Today I Learned
👉 Problem Solving 백준 6문제 1743 - 음식물 피하기 6118 - 숨바꼭질 16948 - 데스 나이트 18405 - 경쟁적 전염 5972 - 택배 배송 14497 - 주난의 난 프로그래머스 SQL 5문제 👉 회고 내일 국민은행 코딩테스트 준비를 어느 정도 마무리했다.. 자신은 없지만 후회없이 보자!😥
-
[백준-14497] 주난의 난(難) /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4497 14497번: 주난의 난(難) 주난이는 크게 화가 났다. 책상 서랍 안에 몰래 먹으려고 숨겨둔 초코바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주난이는 미쳐 날뛰기 시작했다. 사실, 진짜로 뛰기 시작했다. ‘쿵... 쿵...’ 주난이는 점프의 파 www.acmicpc.net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input().split()) x1, y1, x2, y2 = map(int, input().split()) graph = [] for _ in range(n): graph.append(list(map(str, input().rstrip()..